안산학보

안산학보 174호 2면

작성자 웹진관리자 작성일 2024.10.03 18:56 조회수 104

확장 컬럼
웹진호수 10

 

<신조어 및 밈으로 심각해지는 문해력>

SNS가 발달하면서 긴 영상보다 “Short” 또는 “Reels”라는 짧고 빠른 영상이 더 자주 보인다. 10대 청소년들은 SNS에서 유행하는 밈과 신조어를 사용하여 친구들끼리 소통한다. 또래 간의 소속감과 새로운 언어사용의 흥미를 줄 수 있으나 과도하게 사용하는 경우 문해력을 해칠 수 있다. 짧은 영상 시청을 많이 하여 집중력이 저하되고 평범한 단어보다 신조어의 주된 사용으로 책 등의 긴 문장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는 소통하는 과정에서 오해를 부를 수 있다.

 

1. 문해력과 신조어 및 밈의 의미

 

1-1. 문해력의 의미

문해력이란 사용하고자 하는 단어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다.

현대 사회에서 일상생활을 해나가는 데 필요한 글을 읽고 이해하는 최소한의 능력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글을 쓰고 말로 표현하는 능력까지 포함한다.

 

1-2. 신조어 및 밈의 의미

신조어란 한 언어 공동체 안에서 새로 생긴 말을 지칭한다. 단어와 단어를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창조해 내거나 단어를 줄여서 짧게 부르는 단어가 새로 생기기도 한다. 밈은 “MEME”이라는 외국에서 온 외래어를 우리말로 바꿔서 부르는 단어이며 SNS 등에서 유행하여 다양한 모습으로 복제되는 풍자물을 이르는 말이다. 주로 글보다 그림으로 사용되는 시청각 자료이다. 예를 들면 다양한 밈 중 “Happy Cat”이 유명하며 작은 고양이가 점프하는 1~2초의 짧은 영상이 있다.

 

고양이.jpg

 

해피캣 이미지 출처

https://www.ebay.com.au/itm/285616775804

 

2. 문해력의 중요성

문해력이 높으면 정보를 쉽게 습득하고 신속하게 이해할 수 있으며 문서와 정보를 효과적으로 작성하고 분석할 수 있다. 학습 능력, 의사소통 능력, 문제해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 어떠한 상황에 관련된 모든 것을 이해하고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사고 능력까지 제공한다. 영유아기부터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가 문해력이 발달하는 데 가장 중요한 시기이며 개인의 문해력이 높을수록 새로운 지식을 빨리 습득할 수 있다. 모든 학습의 기본 능력이기 때문에 입시 등에서 효과를 발휘한다.

 

3. 문해력이 부족할 경우

·유아기와 초등 저학년 시기에 문해력을 배양하지 못하면 이후의 학습 활동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전반적인 학습 의욕과 학업 성취도가 떨어지며 자신감과 자존감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청소년 시기를 넘어 성인이 되어서도 문해력 결여로 의사소통이 안 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단어의 의미를 잘못 알고 있기 때문이다.

 

4. 힙한 독서 문화 텍스트 힙

실제로 읽은 책.jpg실제로 읽은 책 2.jpg

나이가 어린 Z세대 친구들은 SNS의 유행에 민감한 편이다. 그래서 다른 사람들이 하는 것을 따라 하는 편이며 그 유행을 따라가는 것이 멋있다고 생각한다. 위에서 언급했던 밈과 신조어의 과다 사용은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이번에 설명할 텍스트 힙은 다르다.

텍스트 힙이란 텍스트힙하다의 합성어다. 문해력이 계속해서 사회적인 문제로 떠오르며 책을 읽어야 한다는 주장이 강하게 퍼지고 있다. 문해력을 기르는 가장 좋은 방법은 독서인데 한 연예인이 공항에서 책 읽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 모습을 본 Z세대들이 자신도 책을 읽고 필사하는 것을 SNS에 인증사진으로 남기기 시작하였다. 글보다 영상이 익숙한 Z세대에게 책 읽기가 하나의 힙한 유행이 되어가고 있다. 과연 텍스트 힙이 쇼츠와 릴스로 야기된 문해력 저하 현상에 대한 대항마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 배양 : 인격, 역량, 사상 따위가 발전하도록 가르치고 키움

* 힙하다 : 멋지다, 개성있다는 뜻의 신조어

* 필사 : 베끼어 씀

 

 

사회부 고민서 기자 (항공관광학과2)

 

출처 :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40804580238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302566638887280&mediaCodeNo=257&OutLnkChk=Y

https://www.moneys.co.kr/article/2024080510510590597

 

<청소년들의 도박문제>

청소년들의 도박 범죄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호기심에 도박을 접하게 되는 경우가 많고 첫 시작에서 얻게 된 큰돈으로 유혹을 당한다설령 실패하게 되더라도 다시 더 큰 돈을 얻을 수 있다는 믿음으로 가지고 있는 돈을 모두 투자한다. 이렇듯 청소년의 도박 범죄는 심각해지고 있으며 2차 범죄로도 이어지고 있다.

 

1. 청소년 도박 범죄의 실태

온라인 도박 참여율이 늘면서 중독 치료를 받는 청소년들이 많이 증가했다. 청소년들의 도박 참여율은 2배 이상 늘었다.

청소년들의 도박 참여율

2018

8.2%

2022

18.3%

중독 치료를 받는 청소년 약 278% 증가

2017

817

2021

2,269

도박에 중독된 청소년의 연령대

2019

17.3

2023

16.1

도박에 중독된 청소년들의 연령대 또한 낮아지고 있는데 평균 연령이 최근 5년간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다. 도박으로 인한 정신적인 문제는 학습 발달 저해, 학업 부진 등의 폐해가 있으며 경제적으로는 도박 자금 마련 및 채무 해결을 위한 2차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도 많다.

 

2. 도박을 접하게 되는 경로

A의 경우에는 SNS 보다가 무료로 돈을 준다고 해서 회원가입을 한 후 호기심에 돈을 충전하고 바카라를 했다. 처음에는 호기심으로 시작했으나 도박을 계속하게 된 이유는 돈을 가져갈 때 쾌락과 쉽게 돈을 벌 수 있다는 생각 그리고 성취감이다.

 

도박의 악순환 과정은 한순간에 잃는 구조다. 1만 원으로 2만 원 얻고 2만 원으로 4만 원 얻고 4만 원으로 8만 원 얻으면 끝내야겠다고 생각하지 못한다. 목표 금액을 설정하고 소액으로 시작하더라도 목표 금액을 채우지 못하면 반복해서 충전하기 때문에 결국 다 잃어버리게 된다.

 

잃어버린 돈을 복구하기 위해 친구한테 돈을 빌리게 되면서 친구 간의 신용 또한 잃어버린다. 가장 큰 문제점은 SNS의 발달로 청소년이 불법 도박 사이트에 쉽게 접근하고 가입할 수 있다는 점이다. 도박 사이트의 가입 절차 과정은 회원가입하고 사이트 운영자와 접촉 후 금융계좌와 이름을 알려주면 명의 확인 후에 절차가 완료된다. 간단한 과정이기에 미성년자도 쉽게 접근해서 가입할 수 있다.

 

3. 도박의 위험성 및 피해

청소년들이 불법 도박 사이트에 쉽게 접근하고 가입할 수 있다. 쉽게 접근한 불법 도박 사이트는 베팅한 쪽이 이기게 되면 보통 2배 배당률로 지급이 되고 만약 지게 되면 베팅했던 금액을 모두 잃게 되는 시스템이다. 한 학생은 20일에 걸쳐서 사이버 도박 바카라에서 400만 원을 잃었고 도박 자금을 위해 주변 친구들에게 돈을 빌렸다가 돈을 갚지 못해 폭행을 입는 이차적인 범죄 피해자가 되었다. 친구들에게 돈을 빌리고 절도, 사기, 학교폭력 등 2차 범죄로 이어질 수 있어 심각한 사회적 문제이다. 

도박.png

청소년 도박의 또 다른 문제도 있었다. 직접 노동해서 돈을 벌어 본 경험 없이 도박으로 돈을 벌기 시작한 청소년은 불로소득에 익숙해진다는 것이다. 돈이 필요할 때 아르바이트하지 않고 주식이나 가상화폐 거래로 돈을 벌려고 한다. 클릭 몇 번으로 큰돈을 잃고 얻고 하다 보니 육체적인 노동으로 얻는 돈에 만족하지 못한다.

 

도박은 쉽게 중독으로 이어져 도박의 피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호기심에라도 접근하지 않는 것이 좋다.

 

사회부 기자 고민서 (항공관광학과2)

 

* 바카라 : 도박 카드놀이의 일종

* 불로소득 : 일을 직접 하지 않고 얻는 수익

 

출처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270166638957144&mediaCodeNo=257&OutLnkChk=Y

 

출처

https://www.newsis.com/view/NISX20240709_0002803998